3월 19일, 후쿠시마 핵폐수 방류 중단 촉구 뉴욕-워싱턴 도보 행진
-이원영 전 수원대 교수, 뉴저지 간담회에서 자세한 일정 공개
-뉴저지 민권센터에서 ‘후쿠시마 재앙’ 영화 상영회 열려
2025년 3월, 미국에서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핵폐수 해양 방류 중단을 촉구하는 대규모 도보 행진이 진행될 예정이다.
오는 3월 19일 뉴욕 유엔본부에서 시작해 4월 8일 워싱턴 DC 백악관까지 약 3주간 400km 구간을 행진하며 일본 정부의 핵폐수 방류 중단을 요구하는 캠페인을 펼친다.
이번 행사의 추진 배경은 일본 정부의 핵폐수 방류에 대한 국제 사회의 여론을 환기시키기 위함이다. 일본 정부는 2023년 8월 최초로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를 해양에 방류한 이후 10차례에 걸쳐 약 7만여 톤을 투기했지만, 국제 시민 사회의 반대 움직임과 여론이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이 주요 배경으로 꼽힌다.
이원영 전 수원대 교수는 2월 24일 저녁 7시 뉴저지 민권센터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미국 내에서도 메사추세츠주와 뉴욕주는 극소량의 냉각수 오염수조차 투기를 금지하고 있지만, 미국 연방 정부는 일본의 해양 투기를 용인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문제 제기와 항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이 교수는 “일본과 미국의 정권 교체에 맞춰 세계 시민들의 요구를 다시 한 번 분명히 해야 할 시점”이라며 이번 행진의 의미를 설명했다.
행진은 하루 약 15~20km씩 걸으며 약 3주간 진행될 예정이다. 주요 구간은 인구 밀집 지역으로서 미국 시민들이 쉽게 동참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유엔본부와 백악관을 잇는 상징적인 경로를 따라 진행된다. 특히 출발점과 도착점을 기차역으로 설정해 참여자들의 이동 편의를 고려했다.
이 교수는 이번 행진의 궁극적 목표에 대해 “미국 내 여론을 환기하고, 일본 정부의 해양 방류를 용인한 바이든 행정부의 정책을 철회하도록 압박하는 것”이라며 “특히 핵폐수 방류가 일본의 플루토늄 생산과 핵무기 개발 계획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을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이 교수는 일본의 핵폐수 방류가 단순한 오염수 처리가 아니라 장기적으로 플루토늄 생산을 통한 핵무기 개발을 위한 사전 작업이라고 주장하며, 이에 대한 국제 사회의 강력한 대응을 촉구했다.
이번 행진은 미국 전역의 시민과 세계 각국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며, 현장에서의 다양한 퍼포먼스와 미디어 보도를 통해 여론 형성에 나설 예정이다.
간담회에 앞서 뉴저지 민권센터에서 한글 자막이 추가된 필립 카릴로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후쿠시마 재앙(드러나지 않은 이야기)’ 상영이 있었다. 이 영화는 12개 국제 영화제에 초청되어 그중 2곳에서 수상한 바 있다. (2024년 LIFE AFTER OIL 국제영화제, 2025년 Fest5 국제영화제(인도)).
(출처 JNC TV를 밝혀 주실 경우 자유롭게 인용 보도 하실수 있습니다.)